문화선교연구원은
교회가 하나님의 문화명령을 수행하여
하나님 나라를 확장해 가는 선교사역을 돕기 위하여 1998년 설립되었습니다.
인사말
"교회와 세상이 완전히 분리되어 있고, 하나님은 교회 안에만 계신다"는 이원론적 세계관은 하나님 나라가 확장되는데 오히려 방해가 될 수 있습니다. 분명히 하나님의 주권은 교회뿐만 아니라 세상의 모든 영역에서 실현되어야 합니다.
그러기 위해 교회는 교회 안에서 은둔할 것이 아니라 보다 적극적으로 대중문화에 참여하여 반 기독교적인 문화를 변혁하고 기독교 문화를 창조하는 데 진력해야 할 것입니다.
특히 현대는 매스미디어의 발달로 대중문화의 영향력이 그 어느때보다 커져가고 있습니다. 더욱이 그 영역이 넓고 다양해 성도 개인이나 개교회 혼자만의 힘으로는 대중문화에 대한 적절한 대응을 보일 수 없는 실정입니다.
이에 문화선교연구원은 교회들과 협력하여 대중문화의 역기능으로부터 교회의 정체성을 지켜내고, 나아가 올바른 기독교 문화를 형성하는 데 작은 도구로 사용되기를 원합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원은 하나님의 도우심 아래 최선을 다할 것을 약속드리며 지속적인 관심과 기도를 부탁드립니다.
문화선교연구원 이사장 황성은, 원장 백광훈
사명 선언문
문화선교연구원의 사명은
교회의 문화선교를 돕고 복음적 가치로 문화를 변혁하여 하나님 나라를 이루어 가는 것입니다.
사역 소개
문화선교연구원은 다원주의와 소비 문화적인 가치관의 혼돈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기독교 문화의 정체성에 대한 위협과 선교의 위기를 적극적으로 극복하기 위해 1998년 설립 되었습니다. 이를 위하여 기독교 문화에 대한 신학적인 평가와 방향을 제시하고 교회와 문화계 현장 활동가들과 협력하여 건전한 기독교문화를 연구, 보급하는 활동을 합니다.
문화목회 연구
21세기 문화의 시대, 소통과 변혁이라는 모토 아래, 교회의 문화선교를 돕고 나아가 문화적 차원에서의 기독교의 사회 참여의 이론적 근거를 탐구하는 연구 활동을 전개합니다.
- 기독교문화 학술심포지움, 문화포럼, 문화선교리더십 연구
- 창조적 문화 읽기, 단행본 ‘문화연구신서’ 발간
- 성경적 영화 읽기 교재 ‘무비톡가이드’ 발간
기독교문화 학술심포지움
제1회 기독교 문화, 소통과 변혁을 향하여(2004.05.13.)
제2회 기독교문화와 상상력(2005.11.26.)
제3회 기독교문화와 한국문화(2006.11.25.)
제4회 소비문화시대의 기독교(2007.12.01.)
제5회 소비문화시대의 기독교(Ⅱ): 책임적 소비문화를 지향하며(2008.11.29.)
제6회 웹 2.0시대, 소통과 공공성의 문화선교(2009.11.28.)
제7회 미학의 시대, 기독교미학을 말하다: 예술과 그리스도인(2010.11.20.)
제8회 스마트미디어 시대의 문화목회(2011.10.29.)
제9회 지역사회와 함께하는 문화목회(2012.11.19.)
문화포럼
2003 ∎갈등, 그 화해의 길(2003.11.08.)
2004 ∎주5일 근무제 시대를 준비하는 한국교회의 문화선교(2004.05.13.)
2006 ∎2006년 문화동향 및 전망 - 대중문화에 대한 문화선교적 평가와 대응(2006.01.24.)
∎한국교회 부활절문화를 생각한다!(2006.03.16.)
∎<다빈치 코드>를 통한 문화교육(2006.04.27.)
2007 ∎<밀양>, 기독교에 말 걸다(2007.06.14.)
2008 ∎웹 2.0-촛불시대, 교회는 무엇을 주목해야 하는가?(2008.07.03.)
∎창조론과 진화론 허용되지 않는 소통(2008.09.11.)
2009 ∎창조론과 진화론, 소통의 길은 없는가? - 영화 <익스펠드>를 통해 그 길을 모색해 보다(2009.05.14.)
∎교회와 사회, 문화적 감수성으로 만나다(2009.05.14.)
2010 ∎대중문화, 영성을 주목하다 – 그 현상과 교회의 과제(2010.07.01.)
∎한국 기독교영화의 어제와 오늘, 그리고 내일(2010.10.25.)
2011 ∎한국교회 저작권 문제, 어떻게 할 것인가(2011.08.25.)
2012 ∎청년공감포럼(2012.05.26.)
∎레이디가가 논쟁, 한국교회에 무엇을 남겼나 – 그 의미와 과제(2012.06.07.)
2017 ∎탈종교화 시대, 교회는 어디로 가야 하나(2017.03.10.)
∎종교개혁 500주년과 한국 기독교영화(2017.05.25.)
2018 ∎좌담회 <SBNR, 청년세대의 종교성 분석과 교회 공동체>(2018.02.27.)
∎2018 대중문화 키워드로 살펴보는 대중의 열망과 한국교회의 과제(2018.11.20.)
2019 ∎한국 선교영화를 다시 생각하다(2019.05.10.)
∎2019 대중문화 키워드로 살펴보는 대중의 열망과 한국교회의 과제(2019.12.03.)
2020 ∎2020 문화선교트렌드(2020.01.09.)
컨퍼런스
2009 ∎문화목회 2.0 컨퍼런스(1) 교회 문화센터의 창조적 운영(2009.09.29.)
∎문화목회 2.0 컨퍼런스(2) 소통과 만남의 공간, 교회 카페의 창조적 운영(2009.10.30.)
2010 ∎문화목회 2.0 컨퍼런스(1) 교회, 지역사회와 소통하기–교회 도서관의 창조적 운영(2010.03.25.)
∎문화목회 2.0 컨퍼런스(2) 소통의 공간으로서의 교회건축과 공간 활용의 창조적 모색
– 교회 건축, 지역사회와 만나다(2010.06.29.)
∎문화목회 2.0 컨퍼런스(3) 도시교회, 지역사회와 소통하기
– 지역사회와 함께하는 절기 문화행사(2010.10.14.)
2019 ∎문화선교컨퍼런스: 교회, 문화, 그리고 미래(2019.03.25)
출간도서
문화선교연구신서
∎문화선교의 이론과 실제(개정판)
∎감성세대의 영화 읽기
∎기독교 커뮤니케이션
∎기독교 문화, 소통과 변혁을 향하여
∎기독교 문화와 상상력
∎기독교 문화와 한국문화
∎소비문화시대의 기독교
문화목회가이드Book시리즈
∎스마트시대 목회가이드Book
10대 이슈 및 기독교인 사회의식조사
∎2015 10대 이슈 및 기독교인 사회의식조사
∎2016 10대 이슈 및 기독교인 사회의식조사
삶을 흔드는 창세기 읽기(크리쿰북스)
무비톡가이드
∎(1)신이 보낸 사람 ∎(2)블랙가스펠 ∎(3)시선 ∎(4)그레이트 뷰티 ∎(5)프랑스인 김명실 ∎(6)와즈다 ∎(7)프란시스 하 ∎(8)그 사람 추기경 ∎(9)동경가족 ∎(10)마더 데레사의 편지 ∎(11) 자유의 언덕 ∎(12)소년, 소녀 그리고 바다 ∎(13)내일을 위한 시간 ∎(14)미스터 터너 ∎(15)웰컴, 삼바 ∎(16)리바이어던 ∎(17)모던 타임즈 ∎(18)모두의 천사 가디 ∎(19)신은 죽지 않았다 ∎(20)트래쉬 ∎(21)인사이드 아웃-엄마아빠와 함께 ∎(22) 개를 훔치는 완벽한 방법 ∎(23)인사이드 아웃-친구와 함께 ∎(24)셀마 ∎(25)순교 ∎(26)싱 오버 미 ∎(27)부활 ∎(28)드롭박스 ∎(29)4등 ∎(30)사일런스 ∎(31)예수는 역사다 ∎(32)로마서 8:37 ∎(33)더 크리스마스 ∎(34)신은 죽지 않았다3 ∎(35)리틀 포레스트 ∎(36)원더 ∎(37)가버나움 ∎(38)천로역정:천국을 찾아서 ∎(39)미안해요 리키
문화 네트워크
- 경제경영, 정치, 통일, 미디어 등 각 분야 기독 NGO와 연대
: 정기 월례포럼 및 ‘한국 기독교 선정 올해의 10대 이슈’ 발표 등
- 교회 및 교육기관과 연계
문화 플랫폼
실천적 활동 영역으로서, 대안적이고 창조적인 문화 콘텐츠 제작과 지원사역을 통해 오늘의 기독교 문화지형을 만들어갑니다.
- 웹진(www.cricum.org) 운영
- SIAFF 서울국제사랑영화제 지원(구, 서울기독교영화제, 현재까지 16회)
- 기독·예술영화전용관 필름포럼 운영 지원
- 필름포럼 아카데미 기획
다음세대 문화선교
교회학교를 위한 문화콘텐츠 제공
‘가나안 성도’ 선교
문화목회 인큐베이팅
도심 속 문화수련회
∎2018 시즌1. 생명
∎2019 시즌2. 평화
∎2019 해설이 있는 천로역정
교육영화
∎몽당연필(2000) ∎하교길(2001) ∎열쇠 ∎내 친구(2004) ∎마이티맨(2005) ∎랄랄라(2006) ∎미녀는 KIN거워(2006) ∎샤랄라 놀이터(2008) ∎매직캔디(2009) ∎하이~조이!(2010) ∎듀오(2011) ∎토토의 모험(2012)
영상 <한국교회의 유산>
∎(1)서상륜 ∎(2)소래교회 ∎(3)조사제도 ∎(4)날연보 ∎(5)전도부인
부활절 뮤지컬 프로젝트
∎아리마대 요셉(2006)
∎피터(2007)
∎아름다운 초대(2008) - 뮤지컬 콘텐츠 판매 중
∎가연아 사랑해(2009, 2010) - 뮤지컬 콘텐츠 판매 중
∎그 사람, 바보의사 장기려(2011) - 뮤지컬 콘텐츠 판매 중
∎더플레이-첫번째 에피소드 떡볶이(2012)
문화매거진 <오늘>
통권 83호(2014.11.) 발행, 현재 정간 중
2011.06.24. 최초 작성 / 2018.01.19. /2019.06.21. /2020.03.26. 최종 업데이트
본 홈페이지에 게시된 모든 글들의 무단전재 및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게 시 글 공 유 하 기
페이스북 |
트위터 |
구글플러스 |
카카오스토리 |
네이버 |
밴드 |
댓글